□Life Style/!!!눈에 띄는 기사
-
-
-
MSCI 한국 ETF, 지난 3월간의 수익율 Top! 30.6%□Life Style/!!!눈에 띄는 기사 2009. 4. 4. 10:09
지난 3월동안 미국 주식시장 ETF (상장지수펀드)에서 MSCI South Korea 지수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오른폭은 무려 30.6%.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한국의 펀더멘탈과 더불어 원 달러 환율의 가파른 하락에 따른 상승률이라고 볼수 있다. 뒤이은 수익율을 보인 ETF는 iShare MSCI South Korea 30.6% Claymore/Mac Global Solar Energy index 29.2% iShares MSCI South Africa 21.4% Market Vectors Russia 21.3% iShare MSCI Austria 20.8% 많이 오른 지수들을 보면 환율 등락이 심했던 곳, 재생에너지, 석유에너지가 많은 신흥시장 (Russia) 지수가 올랐네요. 기사원문 바..
-
구글, 직접 설계한 '구글 서버' 공개□Life Style/!!!눈에 띄는 기사 2009. 4. 2. 14:27
구글, 직접 설계한 '구글 서버' 공개 - ZdNet 코리아 기사 바로가기 기사내용 : 구글이 운영하고 있는 서버의 핵심 기술을 최초로 공개 했다. 대부분의 회사는 Dell, HP, IBM, Sun 등 서버 공급업체로 부터 서버를 구입하여 이용하지만 이에 반해 수십만대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는 구글은 서버의 핵심부분을 자사의 전문가 집단이 설계,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 특이한 점이 있다면 각각의 서버의 파워 서플라이에 12v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는 UPS 보다 싸게 먹힌다고 한다. UPS 효율이 92%라면 배터리 탑재의 경우는 99.9% 라 할 수 있다. 이 구글 서버는 3.5인치 두께로 2개의 랙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2개의 CPU,HDD 그리고 8개의 RAM 슬롯으로 구성..
-
예산 깎고 또 깎고 'IT뉴딜' 좌초□Life Style/!!!눈에 띄는 기사 2009. 3. 19. 18:44
예산 깎고 또 깎고 'IT뉴딜' 좌초 - 매일경제 기사 바로가기 기사내용 - 선진국은 투자 늘리고 있지만 한국은 되레 줄고 있다. 그뿐아니라 컨트롤 타워도 사라져 한국의 IT 미래는 암울하다. 소외된 미래 한국 IT 산업 - 디지털 교과서. 정부 통합 전산센터 등 IT사업 2-4차례 유찰 - 올 공공기관 정보화 사업 예산 일괄 10% 삭감 - 내년 전체 공공 정보화 예산 7.1% 추가 축소 - 방통위 추경 예산 4000억원 - >338억원으로 대폭 삭감 - 지경부 추경 IT, SW뉴딜 예산 5000억원->약 2000억원으로 삭감 예정 - 교과 부 과학기술 뉴딜 예산 5000억원 -> 약 1000억원으로 대폭 삭감 예정 노바노바의 기사보기 - 이명박 정부들어서 삽질, 불도저, 배를 산으로 가게 하는 사업등..
-
청소년이 똑딱이로 찍은 우주에서본 지구사진□Life Style/!!!눈에 띄는 기사 2009. 3. 18. 18:46
청소년 똑딱이로 찍은 우주사진 - 나우뉴스 기사 바로가기 영국의 고등학교에 다니는 스페인 출신 청소년 4명이 담당교사 한명과 함께한 실험이 화제다. 헬륨 풍선에 똑딱이 디지털 카메라를 달아 보내 우주 상공에서 지구를 촬영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들의 말에 따르면 1.5kg헬륨풍선에 1.5kg의 카메라와 센서 장비를 단순히 우주로 보낸 것뿐 아니라 센서로 위치를 파악하고, 구글 어스 프로그램으로 이 풍선의 위치를 계속 체크하고. 기상변화에 대비하며 상공을 지나는 여객기 시간 까지 체크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좀더 창의적인 교육이 있어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위에 이런 창의적인 실험들을 할수 있는 여건들은 예전에 비해서 많이 갖추어져 있다. 우리가 아는것이 많아진만큼 그것에서 파생된 질문들도 많아졌다..
-
-
한국때리기, 외신만 탓할 일인가?□Life Style/!!!눈에 띄는 기사 2009. 3. 3. 15:13
(여의도에서)한국 때리기, 외신만 탓할 일인가? - 이데일리 기사 바로가기 기사내용 -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도미노이론'이란 기사를 통해 한국의 신용경색에 대한 취약성이 파키스탄보다 높다고보도 해서, 국내 금융시장을 발칵 뒤집어 놓았다. -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잘못된 수치를 인용했기 때문에 오보다' 라는 반응이다. 이제껏 그래왔던것처럼.. - 기사에서 이머징 마켓중 17위 정도라 했는데, 정부의 수치에따라 정정하면 12위 정도. - 새로운 시각의 접근을 제시하는건 어떤가? 교역의 증대, 금융규제완화, 신기술, 통신발달에 따른 거래비용감소, 리스크 관리기법향상에 따른 모니터링 역량 향상.'신용도가 높은 나라 기관일 수록 돈을 더 잘빌릴 수 있다.' 라는 식의 강변은 어떨까? - 선진국일수록..